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신청

팔팔하당 2024. 2. 3. 13:58

목차



    반응형

    자산형성의 종자돈을 얻고 싶은 청년에게 혜택이 많은 상품이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최대 856만 원의 안정된 수익을 주는 상품이므로 계좌 개설에 따른 가입대상 조건, 가입신청 및 절차에 대한 내용을 읽어보고 가입신청을 하기 바랍니다. 중장기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끝까지 보셔야 꿀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가입대상 나이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가입대상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가입대상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가입대상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청년도약계좌 혜택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본인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명칭 : 소득+우대금리)

     

     

     참고 :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 육아휴직급여 및 육아휴직수당만 있는 경우, 총급여 기준을 적용하여 정부기여금 매칭비율 산정 

     

    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의 장점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납입하여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도와 주는 정부 금융정책 상품으로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정부의 기여금 지원

    - 매월 일정 금액을 최대한 납입하면 정부에서 일정 비율로 기여금을 지원하여 줍니다.

     

    비과세 혜택

    -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으로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 자산 형성

     매달 70만원 납입 시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저위험 상품

    - 정부의 참여로 진행하는 상품으로 안정적인 투자 환경이 제공됩니다.

     

     

     

    가입신청 및 절차

     

     

    개좌개설 절차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에 약 2주 동안 은행 앱을 통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 가입신청은 은행앱으로 합니다.

     

    - 신청 후 약 2주 : 서민금융원에서 가입심사를 한 후 취급은행에 통보합니다.

     

    - 다음 달 초에 취급은행 앱으로 계좌개설을 하면 됩니다. 

     

    가입신청(취급은행)   →  서민금융원(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 확인결과통보)   →  취급은행 (계좌개설안내)  →  개좌개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매달 공개하고 있으니 은행의 가입 신청일을 아래 링크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월 가입신청 및 게좌개설 일정 안내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안내(24년 3월).pdf

     

     

     

     

     가입신청 은행 앱

     

    - 은행을 클릭하면 은행 앱으로 이동합니다

     

    NH농협은행 1661-3000, 1522-3000 KB국민은행 1588-9999
    신한은행 1577-8000 DGB대구은행 1566-5050, 1555-5050
    우리은행 1588-5000 BNK부산은행 1588-6200
    SC제일은행 1588-1599 광주은행 1600-4000
    하나은행 1599-1111 전북은행 1588-4477
    IBK기업은행 1566-2566 BNK경남은행 1600-8585

     

     

    - 은행별 금리를 비교하여 최대금리를 얻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 후에 가입신청하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 시 유의 사항

     

     

     

    가입기간 : 2023년 6월 15알 ~ 2025년 12월 31일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합니다.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중지

     

     

    수익 예상

     

     

     

    출시 당시 기본 금리가 만기 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할때 예상되는 효과

     

    가입자의 소득과 가입 은행, 우대금리 여부에 따라 다르나 기본적으로 시중은행 가입으로 기본금리가 4.5%이고,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고 월 70만 원씩 납부하며, 출시 당시 기본 금리가 만기 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총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장 큰 혜택을 보지만, 2,400만원 이상 6,000만 원 이하 청년들도 이에 못지않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 구간이 낮을수록 월 기여금을 최대한으로 받기 위해 납입해야 할 금액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금 유지에 대한 부담감이 덜한 편입니다. 또한 7,500만 원 이하 구간은 기여금이 없고 비과세 혜택만 있기 때문에 일반적금 금리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 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납입액 40]를 보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정부의 월 기여금 지급한도까지 딱 맞춰서 납입하는 게 가장 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납부 가능 금액이 넉넉하다면 월 70만 원 가득 채워 납부하는 것도 좋지만, 그렇지 않거나 아니면 다른 상품에 투자할 돈이 필요한 경우, 혹은 최소 금액으로 최대 효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월 납입액에 맞춰 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세제 혜택이 없는 일반 적금으로 비교할 경우 최대 10.19%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2024년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

     

     

    '24년 제도개선 내용

     

     

     

    아래 링크를 이용하면 2024년 제도개선 내용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도 개선으로 추가된 혜택을 확인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안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에게 희소식이 있습니다. 만기수령금을 높은 금리와 함께 안정적인 금융환경에서 재투자하여 목돈 마련을 할 수 있도록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습니다. 일시납입하여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기 원한다면 아래 링크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최대 856만 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으니 연계를 한다면 최대 수익이 보장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원활하게 연계 가입할 수 있도록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 가입시점에 일시에 납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만기일은 2.21~3.4일(가입자별 상이)

     

    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예시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1260만원을 일시 납입(18개월 납입액), 월납입액 70만원씩 42개월 납입하면 총 4200만원

    수익 856만원 과 함께 만기수령금은 5056만원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주요 내용

     

    ① 일시납입금액은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 납입가능

     

    ②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된다고 간주함

     

    ③ 월 설정금액은 40,50,60,70만 원 중 하나를 선택(청년도약계좌 개설 이후 변경 불가)

     

    ④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하여야 함

    * 월 설정금액별 납입 가능한 일시납입금액 예시

    - 40만원 : 200만원, 240만원, … , 1,240만원, 1,280만원

    - 50만원 : 200만원, 250만원, … , 1,250만원, 1,300만원

    - 60만원 : 240만원, 300만원, … , 1,200만원, 1,260만원

    - 70만원 : 210만원, 280만원, … , 1,190만원, 1,260만원

     

    ⑤ 일시납입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지급하며, 정부기여금 규모는 ➊월 설정금액, ➋가입기준 개인소득에 따른 매칭비율 및 ➌일시납입금이 전환납입된다고 간주되는 개월수(일시납입금액÷월 설정금액, 이하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에 따라 결정

     

    정부기여금은 일시납입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 영업일 이내 지급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동안은 유지심사 결과와 무관하게 매칭비율 지속 유지

     

    신규납입은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하며, 60개월(5년)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내에서 가능함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Q&A] 청년도약계좌 궁금증 12가지

     

     

    맺음말

     

     

    청년도약계좌는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상품입니다.

     

    청년이 월 40만~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2.4만 원(40만 원의 6%)을 매칭해 지원하고, 이자소득 등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되게 하였습니다.

     

    특히 2023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만기수령금을 일시납입으로 연계한다면 5년 만기 후 최대수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가입요건이 되는 청년이라면 청년도약계좌를 연계하기를 추천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가 은행별로 조금씩 차이가 나므로 안내한 사이트에서 확인한 후 가입하는 것이 현명하겠습니다. 청년기 자산의 종자돈을 형성하기 원한다면 혜택이 많은 청년도약계좌는 좋은 기회이므로 서둘러 가입 신청하십시오. 그래서목돈 만들기에 성공하기 바랍니다.. 

     

     

     

     

     

     

     

     

    청년지원금 정보사이트 바로가기

    지원금은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제공되는 지원금입니다. 청년지원금의 종류와 관련 기관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청년

    nado100.com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근로장려금 반기신청기간 및 지급일정, 신청자격, 지급액 산정, 신청방법을 안내하오니 근로장려금 반기신청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목차 근로장려금 반기신청이란? 근로장려금 반기신청기

    nado100.com

     

    반응형